본문 바로가기

감각통합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1~15번

 

 
 
11.가정에서는 모포나 봉제인형을 끌언안고 있는 일이 많고, 외출해서는 모르는 사람에게 달려가 안긴다.
다른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하므로 그만두게 하고 싶다.
 
 촉각자극에 대하여 거부적,감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촉각방어라고 하며, 촉각자극에 대한 반응의 불균형이 원인이다. 촉각방어가 있는 아동은 일반적으로 거의 느끼지 못하는 자극이나 평범한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촉각방어를 가진 아동은 푹신한 봉제인형을 피하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특별히 더 많이 느끼려는 경우도 있다.
모포나 봉제인형을 끌어안음으로써 스스로 촉각자극을 자극해 만족감(쾌반응)을 얻으려 한다고 생각된다.
행동 개선을 위해서는 아동을 이불에 감싸는 놀이, 볼풀을 활용한 놀이, 모래놀이, 핑거페인팅 등 전신으로부터 촉각자극이 들어오는 놀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출할 때 다른 사람에게 안기려는 행동은
끌어 안김으로써 상대의 옷감 등에서 부드러운 촉각자극을 받아들이거나 안겼을 때의 압박 등으로 만족감(쾌반응)을 얻고 있다. 외출전에 부드럽고 강한 압박자극(쥐고, 누르는 등)을 받을 수 있는 놀이를 하고 만족감을 줌으로써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끌어안기는 행동을 줄일 수 있다.
 
 이런 행동은 촉각자극에 대한 신경계의 불균형이 개선되면 서서히 사라지게 되는데 어릴 때는 무리하게 그만두게 하지 않더라도, 초등학생 이후에는 충분히 설명하여서 서서히 행동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12.고기 이외의 것은 먹지 않으려는 편식이 있고, 간식으로는 씹는 맛이 있는 새우깡 같은 것을 더 좋아한다. 다양한 것들을 먹을 수 있게 되면 좋을 것 같다.
 
 촉각방어가 있는 아동은 얼굴, 입 자극에 방어적이다.
구강에 방어가 있다면,음식물이 입으로 들어가는 것만으로 강한 거부반응을 나타내고, 특정한 감촉의 것만 받아들일 수 있다. 질문의 아동은 씹는 감촉의 음식물은 받아들일 수 있지만,부드러운 음식물에 대해서는 거부한다. 이와 반대로 부드러운 것을 좋아하고 씹는 것을 싫어하는 경우도 있다.
 
 우선은 전신에 대한 촉각방어 반응의 경감이 필요하다.
동시에 입 주변이나 구강에 손가락을 사용하여누르듯 자극을 주거나(구강마사지), 음식물을 딱딱한 것에서 부드러운 것으로 서서히 변화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음식물의 질감(촉각자극) 보다도 냄새나 맛에 반응하여 편식하게 되는 일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음식의 상태를 바꾸어 냄새나 맛을 없애거나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13.물건들을 깨물거나 핥으면서, 더럽히거나 망가뜨린다. 평소에 제대로 놀이를 하지 못하는 아동이라서 관대하게 보고 있다. 성장하면 해결되나?
 
 갓난아기는 무엇이든지 입으로 가져가지만,유아기가 되면서 점차 손으로 조작하게 된다.
그런데 유아기가 되어도 물건을 입으로 가져가는 아동은손의 감각과기능의 발달이 불충분하기 때문일 수 있다.
 
촉각방어가 있다면 이를 경감시키고,
없는 경우,손을 사용하는 놀이를 함으로써 손의 기능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물건의 인식이 부족하여(인지수준) 물건이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몰라서 입으로 가져가는 일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물건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거나,목적있는 행동으로 유도한다.
 
 
14.아동이 운동을 오래 지속하지 못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을 싫어하는데, 상담했던 사람들은 ‘근력이 없다’, ‘근육의 긴장이 떨어진다(저긴장)’고 한다. 어떻게 이해해야 좋은가?
 
근력이란 근육의 힘이다. 
근육의 긴장도(근긴장도)는 근육에 힘을 주지 않을 때의 근육의 장력 상태를 말한다.
근긴장의 극단적인 저하나 상승은 뇌기능의 이상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많고, 저긴장성 아동들은 자세유지나 보행 등 간단한 운동에도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매우 피로해지기 쉽다.
 
근력과 근긴장은 별개의 것을 가리키지만,
실제로 근력은 근긴장도에 좌우되기 때문에 서로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이 아동은 근긴장도가 낮고,그 때문에 근력이 약할 것이다.
 
 
15.큰 공 주고받기가 되지 않고, 풍선을 사용해서 받기나
공중으로 쳐서 올리는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공을 받는데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공을 만지거나 굴리거나 받거나 해서 공의 크기나 무게나 감촉을 경험하기
-움직이는 공을 눈으로 따라가기
-배경의 벽이나사람의 자세에 혼란스럽지 않고,공을 시야에서 놓치지 않기
-공을 따라 발과 손을 움직여도 신체는 안정을 유지하기
-공을 받았을 때 양 손의 간격 등을 상상해서 자세 취하기
-가까이 오는 공과 신체의 거리를 순간적으로 눈대중하거나 시간적으로 예측하기
-손안에 공이 닿는 순간 손이나 팔이 적당히 긴장 하기
공을 받을 수 없는 것은 이들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ref.
감각통합Q&A
ReikoTsuchida
학자사메디컬

*본 글은 치료사가 보호자분께 설명드리기 위해 요약한 내용입니다
책을 구매하시면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감각통합] -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5번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5번

1. 빙글빙글 돌거나, 위아래로 뛰는 행동을 반복한다. 못하게 해야 할까? 빙글빙글 돌거나 위아래로 뛰는 행동은 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행동이며, 이런 전정고유 감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6~10번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6~10번

6. 바퀴나 선풍기가 돌아가는 것을 계속 보고있는데, 왜 이런 행동을 하는가? 일반적으로, 돌아가는 물건들은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키지만 곧 시선을 돌린다. 그러나 발달장애 아동들은 바퀴나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6~20번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6~20번

16.곁에 있는 아동을 힘을 주어 끌어안거나, 부모가 자고 있을 때 위에 올라타기도 한다. 흥분해 있는 모습도 없고, 주의를 주면 그만두지만 시간이 지나면 되풀이한다.커서도 계속할까봐 걱정된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1~25번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1~25번

21. 물건 정리정돈이 되지 않아 잊어버리는 물건이 많다. 아무리 주의를 주어도 자신의 물건을 관리하기 어렵다. 정리정돈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부터 해야하는지 순서를 정하고, 무엇을 어디에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5~30번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5~30번

26. 유치원 체조시간에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무서워하여 움직임을 멈춘다. 이것을 전문 용어로 감각방어 즉, 청각방어라고 한다. 소리가 들리면 ‘어떤 소리일까’라고 느끼기 이전에 심한

therapistj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