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각통합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1~25번

 

21. 물건 정리정돈이 되지 않아 잊어버리는 물건이 많다. 아무리 주의를 주어도 자신의 물건을 관리하기 어렵다.
 
 정리정돈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부터 해야하는지 순서를 정하고, 무엇을 어디에 치울지 결정해야 한다. 여러 공간의 넓이를 인식하고, 물건을 그 공간에 맞추어 조작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그리고 정리정돈을 끝낼 만큼의 집중력도 필요하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까? 그중에 하나는 전정, 고유, 시각정보의 통합에 의해 공간 인식 능력을 길러주는 일이다. 또한 실제로 물건을 조작하는 경험을 가지게 해본다. 감각통합의 불충분함을 보충하기 위해 사진을 찍어서 붙이는 것 처럼 시각적 정보나 순서를 알려주는 것도 좋다. 또한 아동의 집중력과의 연관성을 생각해서, 정리가 가능한 물건부터 시작하거나 단계를 붙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잃어버린 물건에 대해서도 아동에 의해 기억되는 양이 다르므로, 아동이 신경 쓸 수 있는 범위를 명확하게 정해서, 순서를 쓴 종이를 보면서 주의하게 하는 것도 필요하다.
 

22. 말로 지시한 것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수행할 수 있지만, 상황을 보고 자발적으로 행동 하지 않는다.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은 자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뇌 속에는 눈뜬 상태(각성)를 조절하는 곳이 있는데, 멍한 각성 상태이거나 반대로 흥분한 각성 상태이면 자극에 대해 적절히 반응할 수 없다. 또한 주위에서 여러 가지 소리가 들려도 중요한 이야기를 선택해서 들을 수 있는데, 자극을 선택할 수 있는 뇌의 활동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정감각이나 고유수용성감각입력이 부족하면 중력을 이기고 몸을 일으키는데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거나 듣거나 생각하는 일에 집중할 수 없다. 또한 보고 있어도, 어떻게 해서 똑같이 하면 좋을지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인 도움으로는 적절한 각성상태가 되도록 한다. 멍한 각성 상태가 감소되면 아침 일찍 깨우거나 몸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전정 또는 고유수용성 자극을 충분히 주어 각성을 높인다. 흥분하기 쉬운 각성 상태면, 몸을 누르는 듯한 활동(몸을 꼭 끌어안아 압박하기, 이불에 싸서 위에서부터 압박하는 놀이 등)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자세가 불안정한 아동은 놀이터 등에서 신체를 이용하는 놀이를 많이 행함으로써 중력에 대해 충분히 일으켜 세울 수 있는 몸을 만들고, 자기의 몸에 대한 이미지를 발달시키는데 필요한 종류의 감각입력을 느끼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것을 개선해 나가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23. 항상 같은 놀이를 되풀이하고, 다른 놀이로 유도해도 강하게 저항한다.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
 
[되풀이하는 행동이 영향을 주는 경우]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하는 일이 어려워, 자기에게 익숙한 것에 집착해서 안정을 찾으려는 것 같다. 이러한 집착을 없애는 것은 어렵지만 아동이 환경변화에 조금씩 적응을 하면 집착은 조금씩 감소한다.
아동의 놀이는 유아기에는 자기 손을 보거나 빨거나하여 자기자신의 감각을 즐기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주변 환경의 변화를 즐기게 된다. 예를 들면 쥐고 있는 딸랑이를 우연히 떨어뜨리면 어른이 주워준다. 아동은 자신이 딸랑이를 떨어뜨렸던 활동에 의해 어른이라고 하는 환경이 변화되는 것을 인지하여 이를 즐거워하고 반복한다.
이와 같은 ‘활동-환경의 변화’라고 하는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에 장애가 있으면 “새로운 놀이”를 학습하는 것이 어렵다. 그렇게 되면, 점점 자신이 인지할 수 있는 현상, 놀이에만 집착하게 된다. 결국, 아동이 나타내는 집착은 스스로에게 있는 인지능력의 문제들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아동의 인지능력을 높여 가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이 즐기는 감각자극을 주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려주거나 보여주는 등 아동이 가지고 있는 인지능력에 맞는 과제나 인지하기 쉬운 상황을 제공해서, 아동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자기자극 행동이 영향을 주는 경우]
같은 놀이 방법을 되풀이하여 같은 자극을 반복 입력하고 자신의 각성상태, 정신상태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아동이 있다. 예를 들면 막대나 끈을 펄럭거려서 그 모양을 집중해서 보고 있는 상태는 시각자극을, 손목을 툭툭 소리나게 하는 상태는 근육에서의 고유수용성 감각자극 또는 청각자극을, 원을 그리듯 계속 돌고 있는 상태는 전정감각 자극을 스스로 입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아동에게는 원하는 자극을 형태를 바꾸어 제공한다. 혼자서 빙글빙글 도는 것이 아니고, 누군가에게 안겨서 돌거나 또는 돌고 있는 놀이기구에 타서 돌려지는 등, 다른 사람과의 관계속에서 그 감각을 즐기고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사람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흥미, 활동과의 관계가 촉진된다.
 

24. 혼자 노는 일이 많고, 다른 아동이 오면 그 장소를 벗어난다. 어떻게 유도하면 좋을까?
 
[감각방어가 있는 경우]
 질문의 아동 중에는 다른 아동으로부터 '신체가 닿는 감촉, 강하게 부딪치는 느낌, 크고 시끌벅적한 소리, 눈앞에서 어른거리며 움직이는 사람’이라고 하는 감각자극을 받았을 때 유쾌하지 않게 느끼는 아동이 있다. 이렇게 여러 가지 감각자극에 불쾌감을 느껴 그것을 피하거나 방어하려고 하는(감각방어) 결과로써, 다른 아동과 함께 놀지 않으려는 상황이 벌어진다. 이것은 뇌 속에서 감각자극을 처리하는 과정의 미숙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신체가 맞닿는 것을 싫어하는 아동은 촉각자극을 처리하는 과정이 미숙한 것이고, 균형이 나쁘고 두려움이 있는 아동은 전정감각 및 고유수용성감각을 처리하는 것이 미숙한 것이며, 큰소리나 시끌벅적한 소리가 싫은 아동은 청각자극을 처리하는 과정이 미숙한 것이다. 감각자극 처리과정이 미숙한 경우에는 다른 수용가능성 감각과 미숙한 감각자극을 조합한 활동을 통해 뇌의 활동을 촉진한다. 예를 들면 촉각방어를 가지고 있어 신체접촉을 싫어하는 아동에게는 흔들리는 자극(전정감각)을 포함한 활동을 제공한다.
 아동은 필요한 감각을 즐기면서 다른 아동과 그 감각을 공감하고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의할 점은 감각자극에 대한 불안감, 공포감을 느끼고 있는 아동에게 강제 하지 말아야 한다.
 
[놀이수준이 아동의 운동능력 및 이해력에 맞지 않는 경우]
아동에게 지나치게 어려운 활동은 참여하려고 하지 않는다. 운동능력이나 이해력의 문제를 가진 아동에게는 어른의 도움이나 활동의 단계조정이 필요하다.
 

25. 교실 내에서 주의집중이 안 되고 안절부절못하는 아동에 대해, 다른 학생과 같이 앉아서 책상활동을 시키는 것이 좋을까?
 
주의를 집중하여 책상에서 과제에 몰두하려면 어떤 것이 필요할까?
 
(1) 과제에 몰두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
①의자에 똑바로 앉아 있을 정도의 근긴장
②과제를 수행할 때, 필요한 눈의 움직임
③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손의 움직임
이러한 것들이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과제에 몰두하려고 해도 효율성이 매우 떨어진다.
 
(2) 주의를 기울이는 일
 어떤 과제에 주의를 기울여 유지하는데는 일정한 각성수준이 필요하다. 각성상태를 조절하는 곳은 뇌간의 망상체로 제대로 조절되지 않으면,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가진다. 망상체를 활동하게 하는 것은 감각자극-특히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의 말단 수용기로부터 뇌로 전달된 자극들이다. 이러한 감각은 신체를 움직일 때 효과적으로 입력된다.
 각성이 흥분된 상태이면 주위의 모든 자극에 반응한다. 따라서 자극이 적은 조용한 교실에서, 선생님 목소리에 집중하기 쉽도록 앞줄 그석에 앉히는 등 환경의 조정이 필요하다. 반대로 각성이 떨어지면 멍하니 있거나 스스로 각성을 높이려고 자극들을 찾으러 돌아다닐 수 있다. 이 경우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감각자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과제에 집중하기 위해 필요한 각성상태를 준비시킨다.
 
(3) 적합한 과제
지나치게 어려운 과제는 지루하기 때문에 산만해진다. 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몰두하여 성공경험이나 성취감을 맛볼 수 있는, 지나치게 쉽지 않으며, 지나치게 어렵지 않은 과제를 제공한다.
 
 
 
 
 
ref.
감각통합Q&A
ReikoTsuchida
학자사메디컬

*본 글은 치료사가 보호자분께 설명드리기 위해 요약한 내용입니다
책을 구매하시면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5번

1. 빙글빙글 돌거나, 위아래로 뛰는 행동을 반복한다. 못하게 해야 할까? 빙글빙글 돌거나 위아래로 뛰는 행동은 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행동이며, 이런 전정고유 감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6~10번

6. 바퀴나 선풍기가 돌아가는 것을 계속 보고있는데, 왜 이런 행동을 하는가? 일반적으로, 돌아가는 물건들은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키지만 곧 시선을 돌린다. 그러나 발달장애 아동들은 바퀴나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1~15번

11.가정에서는 모포나 봉제인형을 끌언안고 있는 일이 많고, 외출해서는 모르는 사람에게 달려가 안긴다. 다른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하므로 그만두게 하고 싶다. 촉각자극에 대하여 거부적,감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6~20번

16.곁에 있는 아동을 힘을 주어 끌어안거나, 부모가 자고 있을 때 위에 올라타기도 한다. 흥분해 있는 모습도 없고, 주의를 주면 그만두지만 시간이 지나면 되풀이한다.커서도 계속할까봐 걱정된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5~30번

26. 유치원 체조시간에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무서워하여 움직임을 멈춘다. 이것을 전문 용어로 감각방어 즉, 청각방어라고 한다. 소리가 들리면 ‘어떤 소리일까’라고 느끼기 이전에 심한

therapistj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