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각통합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6~20번

 
 
16.곁에 있는 아동을 힘을 주어 끌어안거나, 부모가 자고 있을 때 위에 올라타기도 한다. 흥분해 있는 모습도 없고, 주의를 주면 그만두지만 시간이 지나면 되풀이한다.커서도 계속할까봐 걱정된다.
 
촉각자극에 대한 신경계의 불균형에 의한 행동으로 보인다.
자기자신의 만족감(쾌반응)을 얻기 위해 끌어안거나 이불 위에 올라타는 것으로,촉각이나 압박자극을 자신에게 주어 만족감(쾌반응)을 지속시키고,그 만족감이 줄어들면 다시 끌어안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이것은 스스로를 안정시킬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려는 행동으로 보인다. 
그 외의 원인으로는 상대에 대해‘좋아한다’라는 것을 끌어안는 것으로 밖에 표현하지 못할 수 있다.그러나 이 경우에 상대는 한정될 것이다.이런경우 기분을 전달하는 표현방법이나,끌어안으면 불쾌하게 느끼는 사람도 있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17.빠져나갈 틈도 없는 가구나 책상 밑을 통과하려 하거나우산을 쓴 채로 좁은 곳을 무리하게 지나가려고 한다.왜 이런 행동을 할까?
 
 일상적인 생활을 하다 보면 환경으로 부터여러 가지 감각이 들어온다.우리는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해서 받아들이고 필요 없는 정보는 받아들이지 않는다.이것은 우리 몸을 방어하는 기제가 작용하여,혼란스럽지 않도록 뇌가 조절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 방어기제가 불충분해서 모든 자극이 뇌로 들어가게 된다면 뇌는 혼란해지고 생활에도 지장을 가져오게 된다. 
 좁은 장소나 모퉁이를 좋아하는 아동은 감각정보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감각정보가 들어오지 않는 장소를 선택해서주변 자극을 차단하여 뇌(자기자신)가 혼란스럽게 되는 것을 막으려는 것으로 보인다.또는 좁은 장소로 들어감으로써 자신에게촉각이나 압박자극을 주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그 외의 원인으로는신체도식과 운동계획발달의 미숙을 고려할 수 있다.어느 경우라도 감각자극을 조절,통합하는 능력을 기를 필요가 있다.
 
 
18.손재주가 없어 가위질이나 단추 채우기 도중에 쉽게 단념한다.
 
2~4세 정도가 되면 조금씩 손 조작과 미세한 움직임이 가능해진다.젓가락질,가위질,단추 채우기 등의 정교한 움직임을 위해서는①안정된 앉는 자세 및 서는 자세,②안정된 눈의 움직임,③손가락의 정교한 움직임이 필요하다.
 안정된 자세나 눈의 움직임은 정교한 동작을 할 때 기초가 된다.이들은 전정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의 통합이 관련되어 있으며,신체를 움직이는 역동적인 활동을 통해 촉진될 수 있다.손가락의 정교한 움직임을 위해서는 우세손 및 신체이미지를 확립시키고 정교한 움직임을 반복해서 연습함으로써 증진시킬 수 있다.
(1) 우세손 확립
 우세손은 빈번히 사용함으로써 발달이 촉진,확립된다.사용하기 쉬운 손(우세손)으로 가위를 잡고 반대 손(비우세손)으로 종이를 움직이면,좌우의 손 각각이 기능적 역할을 정확히 분담하고,이로인해 각각의 기능이 향상된다. 이것은뇌의 발달을 의미하며,뇌에서의 역할분담(기능분화)이 진행해 가는 것을 뜻한다.이렇게 뇌의 우반구와 좌반구 사이에서 여러 가지 감각정보가 교류함으로써 뇌의 기능분화가 이루어진다.
(2) 신체이미지 확립
 신체의 구석구석으로부터 들어오는 감각정보를 제대로 통합하지 못해,자기의 손이나 신체를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는 아동일 수 있다.이와 같은 경우는 촉각,고유수용성감각,전정감각 자극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하고,자신의 신체이미지를 확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3)정교한 움직임 반복 연습
 수준을 고려하여 정교한 움직임을 연습시켜 준다.단추 끼우기를 한다면 작은 단추 보다는 큰 단추가 좋고,가위사용하기를 한다면 아동의 손을 잡아서 함께 자르거나 한 번에 잘라내는 폭의 종이를 준비하는것이 좋다.
 
 
19.친구가 탄 세발 자전거를 밀 때에 ‘천천히 해’라고 말해도, 속도를 내어 매우 위험하다.스스로 탈 때는 경사를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반복한다.
 
 밀면서 달림으로써 얻어지는 전정자극(가속)에 의한 유쾌함에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하반신 중심의 관절과 근육 등에 느껴지는 고유수용성 감각자극도 더해지기 때문에, 보통 수준보다 감수성이 낮은 전정,고유수용성 감각자극을 스스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응방법은 처음에 본인이 필요로 하고 있는 감각자극을 중시하는 활동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다.본인의 욕구에 맞는 전정,고유수용성 감각자극을 충분히 줄 수 있는 활동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게 하고,여러 자극에 대한 감수성이나 주의집중을 높여 가는 것을 먼저하도록 한다.그 후 자전거를 타면서 뱡향 조절 연습, 힘 조절 연습 등을 통해 신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와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도록 도와준다.
 
 
20.연필이나 크레용을 잘 잡지 못하고,글씨나 그림을 그릴 때는 아주 엉망이 된다.
 
 중심부(허리, 어깨, 머리)가 안정되어 있어야 세밀한 동작(소근육)과 집중해서 몰두하는 것이 가능하다. 몸을 안정시켜 근육의 활동을 높여 가는 것은 전정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이다.
글씨를 쓰는데 필요한 요소로서, 물체를 집중해서 계속 보는 것, 눈으로 물건을 따라가는 것, 눈과 손의 협응, 형태나 문자의 차이점을 분별하는 능력 등도 필요하다. 이러한 발달의 토대가 되는 것이 전정,고유수용성 감각이나 촉각,시각 입력의 통합이다.
 아동의 흥미에 맞추어 쓰는 것만이 아니라 클레이 놀이, 종이 접기, 가위질 등 손을 사용하여 좋아하는 활동을 하는 것도 좋다. 연필의 잡는 방법에 대해서는 보조도구(연필에 끼워서 쓰는 도구)를 사용하여 손가락 끝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삼점잡기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사다리오르기, 그네타기 등과 같이 손으로 꽉 쥐는 활동은 전신근육활동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며, 손을 사용하는 촉각놀이도 좋다.
 
 
 
 
 
ref.
감각통합Q&A
ReikoTsuchida
학자사메디컬

*본 글은 치료사가 보호자분께 설명드리기 위해 요약한 내용입니다
책을 구매하시면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5번

1. 빙글빙글 돌거나, 위아래로 뛰는 행동을 반복한다. 못하게 해야 할까? 빙글빙글 돌거나 위아래로 뛰는 행동은 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행동이며, 이런 전정고유 감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6~10번

6. 바퀴나 선풍기가 돌아가는 것을 계속 보고있는데, 왜 이런 행동을 하는가? 일반적으로, 돌아가는 물건들은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키지만 곧 시선을 돌린다. 그러나 발달장애 아동들은 바퀴나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1~15번

11.가정에서는 모포나 봉제인형을 끌언안고 있는 일이 많고, 외출해서는 모르는 사람에게 달려가 안긴다. 다른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하므로 그만두게 하고 싶다. 촉각자극에 대하여 거부적,감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1~25번

21. 물건 정리정돈이 되지 않아 잊어버리는 물건이 많다. 아무리 주의를 주어도 자신의 물건을 관리하기 어렵다. 정리정돈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부터 해야하는지 순서를 정하고, 무엇을 어디에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5~30번

26. 유치원 체조시간에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무서워하여 움직임을 멈춘다. 이것을 전문 용어로 감각방어 즉, 청각방어라고 한다. 소리가 들리면 ‘어떤 소리일까’라고 느끼기 이전에 심한

therapistj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