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빙글빙글 돌거나, 위아래로 뛰는 행동을 반복한다. 못하게 해야 할까?
빙글빙글 돌거나 위아래로 뛰는 행동은 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행동이며,
이런 전정고유 감각들의 적당한 자극은 우리들에게 유쾌한 감정이 들게 한다.
이런 행동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경우는, 감각계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아(감각입력이 차단됨)
이런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자기자극을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감각계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원인은 태아기에 받은 손상, 출생시 위험 등에 의해 뇌활동에 문제가 생긴것으로 추측하나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전정감각이나 고유수용성감각이 어떤 원인으로 제대로 활동하지 못하므로,
억지로 못하게 하지 말고
트램폴린,그네,자전거 등 놀이기구를 사용해서 함께 놀아주고
감각통합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2. 신체활동과 다양한 경험을 해주려고 공원이나 야외로 데리고 가지만, 아이가 많이 무서워한다. 계속해도 괜찮은가?
감각방어가 있는 경우다. 위협적이지 않은 자극들이 본인에게는 위협적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스스로 할 때가 공포심이 미치는 영향이 적기에, 아이 스스로 하고싶다는 마음이 중요하다.
스스로 하도록 유도한다.
어떤 방법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먼저 시범을 보여주어
공포심을 줄이고 자신의 움직임을 계획하도록 도와주어라.
또한 방어가 심한 경우라면,
간단한 움직임의 놀이기구에 가까이 가보고, 만져보고, 스스로 움직여 보는 것 부터 시작해서
서서히 자신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감각방어(촉각방어, 중력불안 등)에 대한 감각통합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한다.
*촉각방어, 중력불안
3. 까치발 서기, 까치발 걷기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교정을 하지 않아도 되나?
일상의 대부분을 까치발로 걷는다면 아킬레스건의 단축으로 발목 움직임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는 걷기나 균형을 위해서도 치료가 필요하다.
일상의 대부분이 아닌 가끔씩 까치발을 하는 경우는 세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 놀이를 하는 경우
발끝서기를 통해 균형을 잡으며 즐거워하는 것이다.
둘째, 각성을 조절하는 경우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는 경우이며, 전정감각이나 고유수용성감각을 이용해서 각성을 조절하려고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셋째, 스스로 자극을 주는(자기자극) 경우
둔화되어 느끼기 어려운 감각을 자기 스스로가 자극을 주는 경우이다.
교정은 하지 않아도 되지만,
트램폴린, 그네, 평균대 등을 이용해서 함께 놀거나
Heavy work 활동(힘을 쓰는 활동)을 통해 부족한 감각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다.
4. 몸이 흐느적하며, 누워있기를 좋아하고, 움직임도 둔하다.
전정감각과 고유수용성감각은 신체를 바른 자세로 유지하게 하고, 머리와 목의 적절한 위치를 돕는다.
전정 및 고유수용성감각이 제대로 활동하지 않으면,
중력에 대항하여 머리와 몸을 똑바로 유지하기 어려워 곧 피로해진다.
이런 아이들은 책상에 앉아서 자세유지하기가 힘들어 엎드리거나 턱을 괴고,
서있기가 힘들어 벽이나 기둥에 기대어 있고,
무엇인가 하려고 하면 자세를 취할때까지 시간이 오래걸린다.
또한 시각인지(시각적인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는 능력)의 발달도 늦어지기 때문에,
사물의 위치관계나 방향 등의 이해와 판단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일럴때 꾸짖으면 자발성은 키워줄 수 없다. 아동이 어느정도 노력하고 있는가를 이해해주는것이 중요하다.
기본적 문제인 전정감각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대한 감각통합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감각통합치료에서는 저긴장성 아이들에게
신체인식 증진, 동시수축유도, 자세반응 증진, 움직임계획 능력 향상 등과 같은 활동을 제공할 수 있다.
5. 그네에서 과격하게 흔드는 것을 좋아하며 장시간 계속한다.
그네는 대부분 좋아하는 활동이지만, 개인에 따라 흔들림에 대한 몸의 반응은 다르다.
그네를 과격하게 타는 아동들은 흔들림에 대한 느낌이 우리들이 느끼는 것보다 적은 경우이다.
자기 스스로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는 흔들림을 조절할 수 있고 흔들리는 힘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일이 없는 한 괜찮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는 주의한다.
-팔꿈치나 무릎이 펴져 있을 때
-머리가 내려가고, 시선이 일정하지 않을때
-지나치게 흔들어 그네줄이 느슨해져 그네의 높이가 급격하게 변할 때
-흔들리고 있는데 시선을 뒤로 옮길때 등
이런 아동들은 흔들림을 많이 경험함으로써 흔들림에 대한 감각이 다른 아동글과 비슷해지는 경향이 있다.
아동에게 위험에 주의하며 놀도록 일러주고,
단순한 그네 뿐 아니라 해먹(그물그네)이나 회전기구 등 강한 자극을 제공해주는 놀이기구를 이용하는것도 좋다.
ref.
감각통합Q&A
ReikoTsuchida
학자사메디컬
*본 글은 치료사가 보호자분께 설명드리기 위해 요약한 내용입니다
책을 구매하시면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6~10번
6. 바퀴나 선풍기가 돌아가는 것을 계속 보고있는데, 왜 이런 행동을 하는가? 일반적으로, 돌아가는 물건들은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키지만 곧 시선을 돌린다. 그러나 발달장애 아동들은 바퀴나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1~15번
11.가정에서는 모포나 봉제인형을 끌언안고 있는 일이 많고, 외출해서는 모르는 사람에게 달려가 안긴다. 다른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하므로 그만두게 하고 싶다. 촉각자극에 대하여 거부적,감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6~20번
16.곁에 있는 아동을 힘을 주어 끌어안거나, 부모가 자고 있을 때 위에 올라타기도 한다. 흥분해 있는 모습도 없고, 주의를 주면 그만두지만 시간이 지나면 되풀이한다.커서도 계속할까봐 걱정된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1~25번
21. 물건 정리정돈이 되지 않아 잊어버리는 물건이 많다. 아무리 주의를 주어도 자신의 물건을 관리하기 어렵다. 정리정돈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부터 해야하는지 순서를 정하고, 무엇을 어디에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5~30번
26. 유치원 체조시간에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무서워하여 움직임을 멈춘다. 이것을 전문 용어로 감각방어 즉, 청각방어라고 한다. 소리가 들리면 ‘어떤 소리일까’라고 느끼기 이전에 심한
therapistjh.tistory.com
'감각통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21~25번 (0) | 2023.02.23 |
---|---|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6~20번 (0) | 2023.02.23 |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11~15번 (0) | 2023.02.23 |
감각통합 질문 30가지: 6~10번 (0) | 2023.02.22 |
감각통합치료는 어떤 아이들이 필요할까? (0) | 202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