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발달

아동발달20~21개월: 한국영유아발달선별검사(K-DST)


🫐안녕하세요, 치료사LJH입니다 :)
아이들을 치료하다 보면,
짧은 시간 동안 발달수준을 훑어봐야 할 때가 있습니다
보통 치료를 처음 시작하는 초기상담 때 그래요~

5세 이상 아동은 1년 단위로 크게 관찰 할 때도 있지만
특히 24개월 이하 영유아들은 한 달 한 달 발달 차이가 커서 만 개월수에 맞춰서 관찰하고 평가해야 합니다~ 그럴때 한국영유아발달선별검사(K-DST) 항목들을 참고해요(치료사들마다 참고하는 평가지는 다르고, 저 또한 아동마다 다른 평가지를 사용하기도 해요)

K-DST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주도하에 만들었고 영유아검진때 사용되고 있습니다

평가지 원본은 건강보험공단에서 다운 받을 수 있고요,
평가지에 항목에 대한 그림도 있어서 이해하시기 더 쉬울거예요

4개월 부터 총 다섯가지 영역을 관찰하고, 18개월 부터는 자조 영역이 추가되어 여섯가지 영역을 관찰해요
*4~17개월: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
*18~71개월: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 자조
아래는 K-DST 항목을 기술하였으니 참고해보세요 :)



🫐아동발달 20~21개월(1;8~1;9)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 자조
 
대근육운동
1 뒤뚱거리며 달린다
2 뒷걸음질 할 수 있다
3 난간을 붙잡고 한 계단에 양발을 모은 뒤 한발씩 한발씩 계단을 올라간다(좌우 한발씩 번갈아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4 정지되어 있는 공을 발로 찬다
5 쪼그리고 앉은 자세에서 아무것도 붙잡지 않고 혼자서 일어선다
6 난간을 붙잡고 한 계단에 양발을 모은 뒤 한발씩 한발씩 계단을 내려간다(좌우 한발씩 번갈아 내려가는 것은 아니다)
7 제자리에서 양발을 모아 동시에 깡충 뛴다
8 계단의 가장 낮은 층에서 양발을 모아 바닥으로 뛰어내린다
 
소근육운동
색연필과 종이를 주면 선을 이리저리 그리며 낙서를 한다
 블록을 두 개 쌓는다
숟가락을 바르게 들어(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입에 가져간다
색연필의 중간 부분을 잡는다
5 블록을 네 개 쌓는다
6 블록 두 개 이상을 옆으로 나란히 줄을 세운다
7 손을 닿게 해주면 벽면 전등 스위치를 켜고 끈다
8 문손잡이를 돌려서 연다
 
인지
다른 사람의 역할을 흉내 낸다(예: 부모님이 하는 것처럼 인형을 안거나 업거나 우유를 먹여 준다)
동그라미, 네모, 세모와 같은 간단한 도형 맞추기 판에 한 조각을 맞춘다
두 개의 연속적인 지시를 따른다(예: 휴지 가지고 와서 물을 닦아)
4 지시에 따라 신체 부위 세 곳을 가리킨다(예: 눈, 코, 입, 귀 등)
그림책에 나온 그림과 같은 실제 사물을 찾는다(예: 열쇠 그림을 보고 실제 열쇠를 찾는다)
6 동물 그림과 동물 소리를 연결한다
7 두 개의 물건 중 큰 것과 작은 것을 구분한다
8 빨간, 노란, 파란 토막들을 섞어 놓으면 같은색의 토막들끼리 분류한다
 
언어
 아이에게 익숙한 물건(전화기, 자동차, 책 등)을 그림에서 찾으라고 하면 손으로 가리킨다
이름을 듣고 해당 동물의 그림이나 사진을 찾아낼 수 있다
'엄마', '아빠' 외에 여덟개 이상의 단어를 말한다
4 그림책 속에 등장하는 사물의 이름을 말한다(예: 신발을 가리키며 "이게 뭐지?"하고 물으면 신발이라고 말한다)
5 정확하지는 않아도 두 단어로 된 문장을 따라 말한다(예: "까까 주세요", "이게 뭐야?" 와 같이 말하면 아이가 따라 말한다)
6 '나' '이것' '저것' 같은 대명사를 사용한다
7 다른 의미를 가진 두 개의 단어를 붙여 말한다(예: "엄마 우유", "장난감 줘", "과자 먹어")
8 단어의 끝 억양을 높임으로써 질문의 형태로 말한다
 
사회성
1 어른이 시키면 친숙한 어른들에게 인사를 한다
친숙한 사람의 전화 목소리를 구별한다
3 아이가 엄마(보호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주변의 물건들이나 멀리 있는 사물을 손가락으로 가리킨다
4 "아기(인형)에게 맘마 주세요"하면 인형에게 먹이는 시늉을 한다
5 친숙한 사람이 아프거나 슬퍼하는 것 같으면, 다가와서 위로하려는 듯한 행동이나 말을 한다(예: '호'하고 불어주기, '울지마'라고 말하기)
6 사람들 앞에서 노래나 율동을 한다
7 즐겁게 하던 것을 못하게 하면 '싫다'라고 말이나 동작으로 표현한다
8 어른이 시키면 "미안해", "고마워"라는 말을 한다
 
자조
1 어른이 이 닦는 것을 보고, 이 닦는 흉내를 낸다
2 어른을 따라서 손을 물에 담갔다가 얼굴을 문질러 세수하는 흉내를 낸다
3 음식을 손으로 집어 먹지 않고 포크나 숟가락을 사용하여 먹는다
4 혼자서 모자를 쓰고 벗는다
5 신발 끈을 풀거나 느슨하게 해주면 혼자서 신발을 벗는다
6 손을 씻겨주고 나서 수건을 주면 혼자서 손의 물기를 닦는다
7 한 손으로 컵을 들고 마신다
8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예: 종이, 흙, 휴지 등)을 구별한다

반응형